Cache-Control: max-age=31536000 과학적 사고법 : 가설연역법 VS 다중가설법
본문 바로가기
  •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드립니다.
과학스토리

과학적 사고법 : 가설연역법 VS 다중가설법

by 한-스토리 2023. 9. 10.

 

우리가 어떤 과학적인 내용에 대해 "이것이 정설이다"  라는 이야기를 하려면, 

먼저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을 입증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아니면 어떤 현상들을 분석하고 나서 그 현상에 대한 원인 분석을 통해 새로운 이론을 만들어 내기도 하죠.

 

우리가 이미 알고있는 수많은 수학적, 과학적인 법칙들은 수없이 많은 연구 속에서 정립되어 왔습니다.

 

심지어 대부분의 과학 이론들은 "현재까지는" 이라는 수식어를 붙여야 하죠..

 

정답이 무엇인지 알 수 없기에, 하나의 이론을 세우기 위해 많은 실험도 하고

분석도 하고, 많은 가설을 세우지만  또 다른 연구자에 의해 (혹은 본인에 의해) 그 가설이 완전히 뒤바뀌기도 하는

그런 어려움 속에서 연구자들은 조금 더 타당한 이론을 만들어 내기 위해 정형화된 프로세스를 이용하는데,

 

그것이 바로 가설연역법과 다중가설법 입니다.

 

 

가설연역법과 다중가설법에 대하여 


 

 

어려운 단어가 나왔으니, 각 방법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가설연역법은 아래와 같은 4개의 단계로 진행되는 방법입니다.

 

가설연역법

  • 1단계 : 설명하려는 현상을 관찰한 뒤, 그 현상을 설명할 가설을 세운다.
  • 2단계 : 가설이 옳다는 전제 아래, 가설에 따라 하나 이상의 결론을 연역한다.
  • 3단계 : 경험적 자료를 수집해서 연역한 결론이 진실인지 확인한다.
  • 4단계 :경험적 검증에서 나온 결과에 근거해 결론을 끌어낸다. 제시한 가설의 결론이나 결과가 진실이라면 가설은                   자료에 의해 뒷받침되었다고 말한다.

 

 

즉, 하나의 가설을 세우고 그 가설이 맞다는 증거를 찾아내어 가설을 진실에 가깝게 강화한다는 내용으로,

대부분 우리가 쉽게 쓰는 방법인 듯 합니다.

 

특정 질문에 집중하기 때문에 해당 주제에 대한 명확한 답을 찾기 쉬우며 그 과정에서 논리적인 해석을 가능하게 합니다.

하지만, 하나의 가설에 집중하기 때문에 다른 요소를 간과할 수 있으며

본인이 세운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증거자료를 편협하게 수집한다거나 하는 편향적인 사고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단점 또한 있습니다.

 

 

 

그렇다면 다음으로 다중가설법의 4단계를 보겠습니다.

 

다중가설법

  • 1단계 : 설명하려는 현상을 관찰한 뒤, 그 현상을 설명할 가설들을 찾아본다.
  • 2단계 : 가설들의 경험적 결론을 모든 범위에서 확인한다. 여러 대안 가설 중에서 두드러지는 결론도 포함해야 한다.
  • 3단계 : 경험적 자료를 수집해서 어떤 가설의 결론이 진실을 보여주는지 확인한다.
  • 4단계 : 경험적 자료가 다른 가설들에서 나온 결론보다 특정 가설에서 나온 결론과 상당히 일치할 때, 그 특정 가설이                 현상을 설명한다고 임시로 수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 가설과 자료가 확인되면 이 결론은 바뀔 수 있다. 

 

말이 어렵습니다만,

결국 다양한 가설을 고려하며 동시에 테스트하고, 여러 가설 간의 비교분석을 통해 가장 설명력이 뛰어난 가설을 식별하는 내용입니다. 

이러한 다중가설법은 여러 가능성을 고려하기 때문에 다양성을 반영하여 보다 포괄적인 해석을 할 수 있고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보다 비판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여러 가설을 동시에 검증한다는 것 자체가 위험하기도 하고 수많은 변수들 사이에서 어떤 정보들을 선택해나가야 하는지 결정하기 어렵다라는 단점이 있죠.

 

 

 

 

즉, 하나의 방법이 월등히 좋다거나 맞고 틀리고를 정하기는 어렵습니다.

가설연역법은 단일 가설에 집중하여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는 데 도움을 주며

다중가설법은 다양한 가능성을 고려하여 더 다양한 해석을 제공할 수 있으니

 

중요한 것은 연구자가 상황과 필요에 따라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는 능력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내용 출처 : SKEPTIC vol.34